[장애청년드림팀] 청년기고-중장비팀 ⑵배리어프리 갖춘 '건조 환경',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
최근 한국장애인재활협회와 신한금융그룹이 함께하는 장애청년 해외연수 프로그램 ‘2023년 장애청년드림팀 6대륙에 도전하다’가 마무리됐다.
장애청년드림팀은 지난 2005년 시작된 국내 최초의 장애청년 해외연수 프로그램으로 연수 비용을 전액 지원하며, 지금까지 996명의 청년들이 참여해 37개국을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국내에 전하는 전도사 역할을 수행해왔다.
올해로 1,000번째 도전자를 맞이한 장애청년드림팀은 이제 일상에서 떼어낼 수 없는 디지털IT 기술을 모두가 누리고 삶의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해외사례를 조사해 청년의 인식을 확대하고 국내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Digital IT for Humanity!’를 대주제로 선정한 뒤 6개 팀이 미국, 캐나다, 독일, 일본 등으로 연수를 다녀왔다.
6개 팀 중 장애청년과 비장애청년 각 1명이 팀을 이루어 도전하고픈 해외 장애 이슈로 연수를 떠난 자유연수 3팀의 기고를 연재한다. 첫 번째는 독일 연수를 마친 ‘중장비팀’이다.
기고/주시현(중장비팀)
연수 2일차, 현지 연수 기간 동안의 인터뷰 두 건이 예정되어 있는 중요한 날이었다. 첫 공식적인 일정으로 요하네스(Johannes Christian Grell)와의 인터뷰가 예정되어 있었다. 우리는 요하네스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마르부르크 필립스 대학의 장애 학생 지원 제도 및 학내 장애 인식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자 했다. 우리가 머물렀던 숙소에서 2분이 채 걸리지 않는 거리에 위치한 영화관 앞에서 그를 만났다.
학생 식당으로 향하는 길에는 시각장애인 유도 점자블록이 설치되어 있었고, 건물 입구에도 널찍한 경사로가 있었다. 학생 식당에 들어서자마자 눈에 들어온 것은 안내데스크였다. 열 명은 거뜬히 앉을 수 있을 것처럼 넓었는데, 그는 그곳에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설명해주었다. 안내데스크에는 행정직원으로 보이는 한 분이 앉아 계셨다. 요하네스가 행정직원에게 말하자, 그가 내선 전화를 걸었고 1분이 채 지나지 않아 도우미 학생이 도착했다.
이것은 멘자 서비스(Mensa Service)인데, 여기서 ‘멘자(Mensa)’는 이 학생 식당의 명칭이다. 장애 학생이 도움을 필요로 할 때 호출하여 이용할 수 있고, 도우미 학생은 장애학생이 요청하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도움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길을 찾아 주거나 메뉴를 설명해 주며 식판에 음식을 담아 주거나 필요에 따라 음식을 잘라 주기도 한다. 학생식당은 두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휠체어를 위한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하여 인터뷰를 시작할 수 있었다.
요하네스는 마르부르크 필립스 대학 총학생회 산하의 자율장애인과에서 일하면서 데이터 과학(통계학)을 전공하는 시각장애인 대학생이다. 자율장애인과에서 시각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접근 가능한 학습 도구를 만드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이미 공부를 시작한 시점에서 시각을 잃었기 때문에 그 이후로 새로운 현실에 적응해야 했다. 때문에 다른 사람들보다 수학하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으나, 코르투스씨(Kortus)와 일하며 보람찬 대학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카이 코르투스(Kai Kortus)는 현재 총학생회 산하 자율장애인과의 리더로, 학생들에 의해 선출되고 장애학생들을 정치적으로 대표한다. 요하네스는 학교의 장애 학생 지원제도가 이원화된 두 기관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소개했다.
이는 교내의 장애학생지원센터(SBS)와 그가 활동하는 총학생회 산하 자율장애인과(ABR)의 협력을 말한다. 전자는 행정직원들에 의해 운영되고, 후자는 학생들에 의해 비교적 정치적 목적을 수반하여 운영된다.
SBS는 학교 시설 등과 관련한 장애학생 전반에 대한 일반적 지원 사항을 맡고, ABR은 학생들의 개별적?구체적인 안내 및 지원을 제공하며 (현재는 빈도가 줄었으나) 학생들의 집단 소송이나 장애인에게 불이익을 주는 특정 법률에 대한 시위를 진행하기도 한다.
마르부르크 대학교의 배리어프리를 갖춘 건조 환경(built environment)과 지원제도에 대한 설명도 들을 수 있었다.
도우미 학생은 멘자 서비스 이외에도 장애 학생의 학습 및 이동 등에 관해 도움을 제공한다. 특히 요하네스의 안내에 따라 대학 도서관 건물에 견학해볼 수 있었는데, 시각장애인 점자블록은 건물 밖에서 내부까지 모두 이어져 있었다. 덕분에 시각장애인들이 자신이 원할 때면 언제나 혼자서 편하게 도서관을 방문하고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서관에는 장애인을 위한 학습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스캐너 및 스크린 리더기나 점자 프린터와 같은 기자재들이 구비 되어 있다. 이처럼 기자재가 구비된 공간은 대학 내에 무려 9곳이나 된다.
마르부르크 대학교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살 수 있도록 설계된 ‘콘라드-비잘스키 하우스(Konrad-Biesalski-Haus)’를 갖추고 있다.
이 기숙사는 1969년 11월, 단 두 명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학생을 위해 시작된 공간이었다. 처음부터 모든 공간이 완벽하게 지어진 것은 아니었으나 마르부르크학생연합의 지원을 받으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다른 건물과 마찬가지로 도우미 학생과 의료 인력이 상주하고 있다. 또래 친구인 도우미 학생들은 비잘스키 하우스 옆에 위치한 ‘칼 뒤스버그 하우스(Carl-Duisberg-Haus)’에서 생활하며 친밀하게 지낸다.
콘라드 비잘스키 하우스는 모두 1인실이고, 단 한 곳을 제외한 나머지 73개 방은 모두 장애학생을 위한 곳이다. 1층에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엘리베이터와 비상용 대피로인 보라색 미끄럼틀을 확인할 수 있다. 방 내부의 화장실은 장애인이 충분히 이용할 수 있도록 넓게 설계되어 있다. 방 안팎으로 도움이 필요할 때 호출할 수 있도록 버튼이나 줄이 갖추어져 있다. 기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ㅣ 사업자등록번호 118-82-00229 ㅣ 회장 김인규
주소 : 서울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지식산업센터 A동 3005호 ㅣ 전화 : 02-3472-3556 ㅣ 팩스 : 02-3472-3592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사업자등록번호 118-82-00229 | 회장 김인규
주소 : 서울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지식산업센터 A동 3005호 l 전화 : 02-3472-3556 ㅣ 팩스 : 02-3472-3592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사업자등록번호 118-82-00229 | 회장 김인규
주소 : 서울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지식산업센터 A동 3005호 l 전화 : 02-3472-3556 ㅣ 팩스 : 02-3472-3592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사업자등록번호 118-82-00229 | 회장 김인규
주소 : 서울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지식산업센터 A동 3005호 l 전화 : 02-3472-3556 ㅣ 팩스 : 02-3472-3592
COPYRIGHT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ALL RIGHTS RESERVED.
Please select a template first